Surprise Me!

[김진이 간다]4천 원 내야 등산?…‘억울한’ 입장료

2019-11-25 1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무료인 국립공원 등산로 입구에 매표소가 있습니다. <br><br>사찰 입장료를 내야 하는데, 모든 등산객이 다 해당되니 불만이 끊이질 않습니다. <br> <br>등산객들과 사찰의 충돌 현장, 김진이간다, 김진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<김진> <br>이처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국립공원에서 입장료를 받는 곳이 <br>있어서 수년 째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도대체 누가, 왜, 입장료를 받는 것일까요? 문제의 현장 확인해보겠습니다. <br> <br>가을이 깊어질수록 단풍도 형형색색 더욱 곱게 물들어갑니다. 단풍 구경을 하기 위해 산을 찾는 등산객들도 많아졌는데요 <br> <br>그런데,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국립공원에서 입장료를 받아 수년째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충북 속리산 국립공원. 입구에 매표소 건물이 있습니다. 일명 '문화재입장료'는 성인 4천원. <br> <br>입장료가 있다는 것을 몰랐던 등산객들. 망설이며 입구를 서성입니다. <br> <br><시민> <br>그런데 비싸다 <br><br><시민> <br>말이 4천원이지. 우리 40명인데, (40명 곱하기 4천원이면) 16만원. 그냥 가. <br> <br>결국 많은 사람들이 그냥 발걸음을 돌립니다. <br> <br><피디> <br>입장료를 왜 내야 하는 거예요? 국립공원은 무료 아니에요? <br><br><매표소 직원> <br>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돈을 받고 있어요. <br><br><피디> <br>법주사에서 받는 거예요? <br><br><매표소 직원> <br>네 <br> <br>입장료는 속리산에 있는 사찰, 법주사에서 받는 것인데요, 문화재 소유자는 관람료를 징수할 수 있다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것이라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, 문제는 사찰을 방문하지 않는 일반 등산객들도 입장료를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. <br> <br><등산객> <br>장사잖아요. 부처님 가지고 장사하는 거지 <br> <br><등산객> <br>나 입장료 못 낸다고 그냥 들어가겠다고 했더니 (매표소에서) 안 된대. 무조건 안 된대 <br> <br>연간 약 200만 명이 방문하는 전북 내장산. 단풍이 절경인 가을철에는 특히 많은 사람들이 전국에서 모여듭니다. <br> <br>그런데, 이곳 역시 내장사 문화재 관람료 명목으로 입장료 3천원을 내야합니다. <br> <br>더욱이 카드 결제는 안 되고, 오직 현금만 받습니다. <br> <br><매표소 직원> <br>현금 현금. 저기에 CD기가 있는데 <br> <br>매표소 바로 옆에는 현금인출기도 보입니다. <br> <br>사찰에는 관심이 없는 등산객들은 불만을 쏟아냅니다. <br> <br>< 등산객> <br>우린 등산만 할 건데 입장료를 여기에서 왜 받아요? <br><br><내장사 매표소 직원> <br>그건 저한테 따질 게 아니고요. 시청하고 국립공원 관리공단하고 절하고 3곳에서 합의해서 여기에 (매표소를) 설치해놓은 거예요. <br> <br>현재 전국 국립공원에서 문화재 관람료를 받는 사찰은 총 23곳. 적게는 천 원부터 많게는 5천 원까지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<등산객> <br>(입장료 받는 게) 잘못된 거죠. 무조건 (매표소만) 지나가면 입장료 3천원을 내야 하는 거예요. <br> <br>사찰에서 입장료를 받는 이유는 뭘까요. <br> <br><내장사 관계자> <br>(입장료를 받는) 이유라는 건 사실상 절 운영비죠. 우린 그렇게라도 해서 생계를 해야 해요. <br><br><피디> <br>산 아래에서부터 (입장료를) 받는 이유는 뭐예요? <br><br><내장사 관계자> <br>남의 앞마당에 들어가는 상황이 되는 거예요. 굳이 방에 들어가는 게 아니어도 <br> <br>사찰의 사유지라 통행세를 받아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하자, 일부 사찰이 결단을 내렸습니다. 화엄사·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로 꼽히는 천은사. 지난 4월, 32년 만에 입장료를 폐지했습니다. <br> <br><천은사 관계자> <br>매표소에서 (입장료를) 받다 보니까 시민들이 불만을 갖더라고요. 종교인으로서 그런 소리를 듣다 보니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서 (입장료를) 폐지한 겁니다. <br> <br><등산객> <br>좋죠. 그래야죠. 폐지되니까 좋죠. 절에도 안 가는데 왜 돈을 줘요. <br> <br>여전히 많은 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는사찰 문화재 관람료. 국민들이 국립공원을 마음 편히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해보닙니다. 김진이 간다. 김진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